수국은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갈잎 떨기나무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수국의 꽃송이는 수구화나 분단화로 표현되기도 하며 백거이와 관련이 있어 팔선화나 자양화로 불리기도 합니다. 오늘은 수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태
수국은 한국, 일본, 중국 등 다양한 등지에서 자라며 1~2미터까지 자라는 식물입니다. 한 줄기에서 갈라져 자라는데 어린 가지는 짙은 녹색이며 굵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줄기에서 잎이 날 때는 서로 마주 보며 자라는데 긴 타원형의 모습으로 8~15cm의 크기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삼각 형태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잎은 두꺼운 편에 속하고 광택이 나 매끄러우며 겨울까지 피우지 않고 가을에 모든 잎을 떨굽니다. 수국은 물을 좋아하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으로 수국의 수는 물 수(水)입니다. 6~7월 가지 끝에 둥근 꽃이 꽃대에 붙는 줄기를 볼 수 있는데 분홍, 흰색, 청보라, 빨간색 등의 꽃이 핍니다. 처음 흰색으로 꽃을 피우지만 점차 청색으로 변하며 이후 다시 빨간색을 입혀 추후에는 보라색 잎으로 변하게 됩니다. 흙 성분인 알칼리가 강하면 분홍빛이 나오며 산성이 강하면 남색으로 변하는데 흙에 들어있는 성분에 따라 꽃의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수술과 암술은 퇴화했기 때문에 작으며 열매는 생기지 않는 식물입니다. 하지만 종류에 따라 열매가 생기는 종도 있는데 산수국과 탐라수국은 열매를 맺고 있습니다. 현재 많이 볼 수 있는 수국은 나무수국으로 일본에서 들여온 품종입니다. 수국의 번식은 꺾꽂이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옮겨 심으면 빠르게 생장해 키우기 쉽습니다. 물을 좋아하는 만큼 습하고 비옥한 땅의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하며, 추위를 많이 타기 때문에 한반도 중부 위쪽에서는 화분에서 많이 심는 추세입니다.
역사
일본에서 시에볼드와 주카리니가 Hydrangea otaksa라는 독립된 종으로 알려졌었으나 1923년 미국 하버드대 아놀드 수목원에 아시아 식물 전문가인 윌슨에 의해 Hydrangea macrophylla로 품종을 변경하였습니다. 공 모양의 구형으로 꽃이 달리는 것이 특징이며 모두 중성꽃으로만 되어있습니다. 시에볼드와 주카리니가 otaksa(오탁사)라는 일본 이름에 맞춰 이름을 지었는데 현재 일본에서는 오탁사의 이름은 쓰지 않으며 이 어원에 대해 자세히 알려진 내용이 없습니다. 수백 년 전부터 중국과 일본에서는 수국을 재배하고 있었으며 일본에서 불리는 꽃말은 순수, 사랑, 우아의 상징으로 많은 시적 표현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후 유럽으로 18세기 후반에 전파되었으며 많은 변종들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변종들은 다양한 꽃 모양과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꽃말
수국의 꽃말은 무정, 변덕, 변심, 냉담, 냉정이며 꽃의 색상에 따라 다른 꽃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쓰임새
일부 종류는 예부터 의약품이나 허브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수국은 항염증, 해열, 진통 등의 효과를 가진 성분 할로푸지논이 있으며 피부 염증 치료, 소염제 등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할라푸지논은 여러 곳에서 발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을 억제하는 성분 중 하나입니다.
생물 분류
계는 식물계에 속하는 생물로 광합성으로 에너지 비축에 필요한 녹말을 만드는 식물이며 속씨식물군에도 속하는데 씨방 속에 씨가 들어 있어 현화식물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진정쌍떡잎식물군으로 식물 발아시에 두 개의 떡잎을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고 속씨식물 분류 중 하나인 국화군에 속합니다. 목으로는 쌍떡잎식물의 한 종류인 층층나무목에 속하며 과는 수국과로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많이 서식되고 있는 과입니다. 속은 수국 속으로 아메리카와 아시아에 자라고 있는 생물 75 개종 이상의 속씨식물 속입니다. 수국의 학명은 Hydrangea macrophylla입니다.
형태
잎은 달걀 모양으로 두꺼우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꽃은 중성화로 수술과 암술이 퇴화되어 종자를 만들 수 없는 종으로 6~7월에 개화되며 꽃가지 아래가 길어 아래쪽으로 가지런하고 평평하게 자랍니다. 꽃받침은 4~5개의 꽃잎처럼 생겼으며 꽃잎은 작으며 4~5개로 형성됩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은 퇴화되어 암술대가 3~4개 존재합니다.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 치유에 탁월한 알로에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06.22 |
---|---|
생명력 강한 초보 식물 스투키의 키우는 방법? (0) | 2023.06.21 |
초보자 식물로 적합한 아이비 특성과 키우는 방법 (0) | 2023.06.20 |
힐링이 되는 나팔꽃의 아름다움과 깊은 의미에 대해서 (0) | 2023.06.18 |
흩날리는 꽃이 매력적인 안개꽃의 아름다움 알아보기 (1) | 2023.06.16 |